본문 바로가기

이덕일 역사 TV2

[이덕일의 현장답사] 북한산 순국선열 애국지사 묘역 광복군 무후선열 묘역 이시영 선생 묘역 인근에 위치 이국에서 생을 마감한 후손없는 17인 광복군 유골을 합장한 곳 # 이덕일의 한국통사 - 다시 찾는 7,000년 우리 역사 이덕일의 한국통사 300여 컷에 달하는 화려한 도판으로 읽는 새로운 한국사. 서기전 4,500년경에 성립했던 홍산문화에서 1910년 대한제국 멸망까지 식민사관과 소중화주의에 의해 숨겨지고 뒤틀려 있던 역사를 바로 www.aladin.co.kr # 이덕일 역사 TV 채널 바로가기 광복군무후선열묘역은 미사협이 만들어지고 첫 행사를 했던 곳입니다. 이곳은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요즘들어 시민단체에서 설이나 추석때 정기적으로 참배를 하고 있습니다. 이국에서 나라를 구하기 위해 목숨을 다한 분들의 유골을 독립운동가들이 보관하고 있다가 고국에 안치했습니다. 다들 젊은 나이에 돌아가신 분들이라 후손이 없고 결혼할 형편이 안돼 함께 모시게 됐다고 합니다. 출처 .. 2020. 10. 31.
[이덕일의 현장답사] 이덕일 역사TV 북한산 순국선열 애국지사 묘역 이시영 선생 이덕일 역사TV 답사 독립운동가이자 역사학자들이 대학교를 설립 교육구국 운동 펼침 # 이덕일의 한국통사 - 다시 찾는 7,000년 우리 역사 이덕일의 한국통사 300여 컷에 달하는 화려한 도판으로 읽는 새로운 한국사. 서기전 4,500년경에 성립했던 홍산문화에서 1910년 대한제국 멸망까지 식민사관과 소중화주의에 의해 숨겨지고 뒤틀려 있던 역사를 바로 www.aladin.co.kr # 이덕일 역사 TV 채널 바로가기 이시영 선생 일제강점기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위원, 한국독립당 감찰위원장 등을 역임한 독립운동가.정치인. 1905년 외부 교섭국장에 임명되었으나 을사조약의 강제체결을 계기로 사직하였다. 그러나 1906년 재차 평안남도 관찰사에 등용되었고, 근대학교설립 및 애국계몽운동에 종사하였다. 그 뒤 1907년 중추원칙임의관, 1908년 한성재판소장·법부 민사국장·고등법원판사 등을 역임.. 2020. 10. 31.